CA 인증 획득
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규격을
통과한 제품에 부여하는 마크
※ 초미세 입자 (0.01 ㎛) 의 99.999 %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AP-1521B 2. 시험 내용 : 0.01 ㎛ 직경 입자의 제거 효율 3. 시험 결과 : 99.999 % 4. 시험 규격 : SPS-KACA 002-132:2018 modified 5. 시험 조건 : 온도 23±5 ℃, 습도 55 ±15 %, 시험 챔버 30 ㎥, 시험 입자 KCl 6. 시험 방법 : 공기청정기를 시험 챔버에서 정격 풍량으로 가동시켜 1시간 이내 0.01 ㎛ 직경의 미세입자 제거율 측정 7. 시험 기관 :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 (2021.03)
※ CA 인증의 유해 가스 시험 기준 (*챔버 내 30분 가동 시)
1. 한국공기청정협회 CA 인증 기준, AP-1521B 제품 (권장사용면적 : 50 ㎡, 필터 장착 기준), 한국공기청정협회 규격 (SPS-KACA 002-132:2018, 실내용 공기청정기의 유해가스제거시험) 에 따르며 시험 물질은 암모니아, 초산, 아세트알데히드, 톨루엔, 포름알데히드임 2. 온도 (℃) 23 ± 5 / 상대습도 (%) 55 ± 15, 탈취시험용 챔버 (8.0 ㎥) 사용하며, 시험용 가스의 초기 농도는 10 ppm, 농도의 허용 오차는 ±10 % 로 함 3. 유해가스 시험 기준은 한국공기청정협회가 지정한 시험 기관이 CA 인증 기준에 따라 밀폐된 실험 공간에서 특정 사양의 공기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므로, 실사용 환경 및 공기측정기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.
※ 공기 중 부유 세균 99.9 %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AP-1521B 2. 시험 내용 : 공기 중 부유 세균 제거 효율 평가 3. 시험 결과 : 99.9 % 4. 시험 균주 : Escherichia coli ATCC 25922 (대장균),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(황색포도상구균), Klebsiella pneumonia ATCC4352 (폐렴간균), Pseudomonas aeruginosa ATCC15442 (녹농균), MRSA (Staphylococcus aureus sub sp. Aureus) ATCC33591 (메타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) 5. 시험 규격 : ISO 16000-36:2018에 준함 6. 시험 조건 : 온도 23±5 ℃, 습도 55±15 %, 시험 챔버 30 ㎥ 7. 시험 방법 : 공기청정기를 시험 챔버에서 정격 풍량으로 1시간 가동시켜 초기 균 농도 대비 감소율을 평가함 8. 시험 기관 :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 (2021.04)
※ 공기 중 부유 세균 99.9 %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AP-1521B 2. 시험 내용 : 공기 중 부유 세균 제거 효율 평가 3. 시험 결과 : > 99.9 % 4. 시험 균주 : Staphylococcus albus CGMCC 1.3374 (백색포도상구균) 5. 시험 규격 : GB/T 18801:2015 6. 시험 조건 : 온도 25±2 ℃, 습도 50±15 %, 시험 챔버 30 ㎥ 7. 시험 방법 : 공기청정기를 시험 챔버에서 정격 풍량으로 1시간 가동시켜 초기 균 농도 대비 감소율을 평가함 8. 시험 기관 : 중국 가정용전자기기 연구원 (China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Research Institute, CHEARI) (2021.04)
※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 99.99 %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AP-1521B 2. 시험 내용 :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 제거 효율 평가 3. 시험 결과 : > 99.99 % 4. 시험 균주 : Escherichia virus Phi-X174, Influenza A virus (H1N1) 5. 시험 규격 : GB 21551.3:2010 6. 시험 조건 : 온도 25±2 ℃, 습도 50±10 %, 시험 챔버 30 ㎥ 7. 시험 방법 : 공기청정기를 시험 챔버에서 정격 풍량으로 1시간 가동시켜 초기 균 농도 대비 감소율을 평가함 8. 시험 기관 : 중국 가정용전자기기 연구원 (China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Research Institute, CHEARI) (2021.04)
※ 바이러스 불활화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항균 초미세먼지 집진필터 2. 시험 내용 : 구리 항균 섬유로 제작된 필터를 이용한 필터 내 바이러스 불활성화 3. 시험 결과 : 99.6 % 4. 시험 균주 : Influenza A virus subtype (H1N1,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) 5. 시험 규격 : ISO 18184:2019에 준함 6. 시험 방법 : 시험 대상 필터 시편에 시험균을 24시간 동안 접촉한 뒤, 대조군 (Virus Stock Solution) 대비 성장 억제 정도를 계산함 7. 시험 기관 : BioPS (2021.05)
※ 공기 중 부유 흑곰팡이 99.9 %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AP-1521B 2. 시험 내용 : 공기 중 부유 흑곰팡이 제거 효율 평가 3. 시험 결과 : 99.9 % 4. 시험 균주 :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9642 5. 시험 규격 : ISO 16000-36:2018에 준함 6. 시험 조건 : 온도 23±0.2 ℃, 습도 50.5±2.0 %, 시험 챔버 30 ㎥ 7. 시험 방법 : 공기청정기를 시험 챔버에서 정격 풍량으로 1시간 가동시켜 초기 균 농도 대비 감소율을 평가함 7. 시험 기관 :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 (2021.05)
※ 항곰팡이 증식 억제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항균 초미세먼지 집진필터 2. 시험 내용 : 구리 항균 섬유로 제작된 필터를 이용한 필터 내 곰팡이 저항성 3. 시험 결과 : 0등급 (곰팡이 성장 없음) 4. 시험 균주 : 혼합균주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9642, Peni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,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, Trichoderma virens ATCC 9645,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5. 시험 규격 : ASTM G 21-15 6. 시험 방법 : 시험 대상 필터 시편에 곰팡이 균주 (혼합균주) 을 주입한 후 온도 29±0.2 ℃, 상대습도 92.8±2.0 % 에서 4주 동안 배양시킨 뒤 곰팡이 저항성을 평가함 7. 시험 기관 :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 (2021.04)
※ 항균력 (99.9 %) 제거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항균 초미세먼지 집진필터 2. 시험 내용 : 구리 항균 섬유로 제작된 필터의 시편을 이용한 필터 내 세균 증식 억제 3. 시험 결과 : 99.9 % 4. 시험 균주 : Escherichia coli ATCC 25922 (대장균),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(황색포도상구균), Klebsiella pneumonia ATCC4352 (폐렴간균),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(녹농균), MRSA (Staphylococcus aureus MRSA) NCCP14752 (메타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) 5. 시험 규격 : KS K 0693:2016 6. 시험 방법 : 시험 대상 필터 시편에 시험균을 주입한 후 온도 37±1 ℃에서 18시간 동안 접촉한 뒤 항균력이 없는 표준 면포와 비교해 억제 정도를 계산함 7. 시험 기관 : FITI 시험연구원 (2021.03), KATR (2021.03 ~ 04)
※ 살균력 (99.9 %) 시험 조건
1. 시험 대상 : UVC LED 조사 구역, 팬 중앙 지름 (82 mm) 2. 시험 내용 : UVC LED의 팬 중앙부 살균 시험 3. 시험 결과 : 99.9 % 4. 시험 균주 : Escherichia coli ATCC 25922 (대장균),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(황색포도상구균) 5. 시험 규격 : KS K 0693:2016 6. 시험 방법 : 균액을 묻힌 시편을 팬 중앙 부위에 부착 후 정음 모드(UVC LED on)로 20분 가동 후 균수 측정. 대조군은 UVC LED를 off 상태로 동일하게 진행 (KTR 시험보고서 TBK-2021-002166) 7. 시험 기관 :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(KTR, 2021.04)
※ 실험 결과는 국내 공인 시험 기관의 실험실에서 측정된 결과로 실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제시된 시험 결과는 제품의 초기 성능으로 사용 시간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음.